요즘 같은 고금리 시대에 '1억 예금하면 한 달 이자가 얼마나 될까?' 궁금하신 분들 많으시죠?
2025년 6월 현재, 시중은행과 인터넷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를 기준으로 1억 예금 시 실제 이자와 가장 유리한 예금 전략까지 정리해 드립니다.
2025년 기준금리 및 예금 시장
- 한국은행 기준금리: 2.75% → 최근 2.50%로 인하
- 이에 따라 시중은행 평균 정기예금 금리도 2.5~3.0% 수준으로 조정됨
- 단기(6개월) 예금이 오히려 장기보다 높은 “금리역전” 현상도 관측
은행별 예금 금리 비교(1년 기준)
은행 유형 | 금리(연) | 특징 |
KB국민·신한·하나·우리 은행 | 2.90%~3.05% | 우대조건(급여·이체 등) 필수 |
카카오뱅크 | ~3.10% | 비대면 가입 우대 |
토스뱅크 | ~3.20% | 최상위 비대면 금리 |
* 2025년 6월 가입 기준
* 인터넷은행(카카오, 토스 등)이 우대조건 충족 시 가장 높은 금리 제공
저축은행 금리 비교(1년 기준)
저축은행 | 연 금리(세전) | 이자방식 | 주요 조건/특징 |
키움저축은행 | 최대 4.35% | 복리 | 비대면 가입, 회전식, 일부 우대조건 필요 |
상상인저축은행 | 약 3.51% | 단리 | 무우대, 단기 가능 |
JT친애저축은행 | 약 3.50% | 단리 | 비대면 정기예금 |
바로저축은행 | 약 3.45% | 단리 | 일반 정기예금, 우대 조건 無 |
웰컴저축은행 | 약 3.40% | 단리 | 예치 기간 다양, 모바일 전용 상품 있음 |
OK저축은행 | 약 3.35% | 단리 | 비대면 모바일 가입 용이 |
페퍼저축은행 | 약 3.30% | 단리 | 온라인 예금 특화 |
* 2025년 6월 가입 기준
* 일부 고금리 상품은 우대조건이 있거나 기간/복리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1억 예금 시 수익 예시
✅ 1년 예치 수익
금리 | 세전 이자 | 세후 이자(15.4%) |
3.05% (시중은행 상위권) | 305만 원 | 약 258만 원 |
3.30% (인터넷은행 상위권) | 330만 원 | 약 279만 원 |
3.50% (저축은행 평균) | 350만 원 | 약 297만 원 |
4.35% (저축은행 특판) | 435만 원 | 약 368만 원 |
✅ 1개월 이자
금리 | 세전 월이자 | 세후 월이자 |
1.5% | 약 12.5만 원 | 약 10.6만 원 |
2.0% | 약 16.7만 원 | 약 14.1만 원 |
3.0% | 약 25.0만 원 | 약 21.2만 원 |
3.3% | 약 27.5만 원 | 약 23.3만 원 |
3.5% | 약 29.2만 원 | 약 24.7만 원 |
4.35% | 약 36.2만 원 | 약 30.6만 원 |
1억 예금 전략 꿀팁
1. 저축은행 고금리 상품 활용
3.4~4.35% 금리 가능한 비대면 회전·복리 상품 눈여겨보기
2. 우대 금리 조건 꼼꼼하게 챙기기
급여이체, 자동이체 조건 은행별로 상이
3. 단기 vs 장기 분산 예치
금리 역전 현상 답은 6개월~1년 단기+회전 정기예금 전략
4. 예금자 보호 범위 확인
1금융/2금융 모두 1인당 최대 5천만 원 보호, 분산예치 필수
5. 세후 계산 필수
15.4% 이자소득세 포함, 실수익 체크
마무리
* 시중은행: 연 2.9~3.1% → 1억 기준 연 279~297만 원, 월 23~25만 원
* 인터넷은행: 연 3.3% → 연 279만 원, 월 23만 원
* 저축은행: 연 3.4~4.35% → 연 297~368만 원, 월 24~31만 원
👉 추천: 1억 예치 시,
저축은행 고금리·복리상품 + 단기 회전 예금 조합이 가장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 총정리
저축은행 정기예금 금리비교 총정리요즘 금리가 예전 같지 않죠? 하지만 여전히 정기예금은 안정적인 자산관리 수단입니다.특히 저축은행 정기예금은 시중은행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기 때문
five.info-book.kr
연도별 금시세 총정리 |금값 전망과 투자 전략
금은 전통적으로 안전자산으로 평가받으며, 경제 불확실성이 클 때마다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아왔습니다. 특히 최근 10년간 금시세는 다양한 경제적 요인에 따라 큰 변동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five.info-book.kr
2025 은시세 전망(+10년 흐름)
은시세 전망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은은 전통적인 안전자산이자 금과 함께 산업용 수요가 높은 귀금속 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현재 시세와 함께 향후 전망, 1kg 기준 가격, 지난 10년간
five.info-book.kr